백준 11724번 : 연결 요소의 개수(python)
·
Algorithm/백준
문제 방향 없는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연결 요소 (Connected Component)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M이 주어진다. (1 ≤ N ≤ 1,000, 0 ≤ M ≤ N×(N-1)/2)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간선의 양 끝점 u와 v가 주어진다. (1 ≤ u, v ≤ N, u ≠ v) 같은 간선은 한 번만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연결 요소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6 5 1 2 2 5 5 1 3 4 4 6 예제 출력 1 복사 2 예제 입력 2 복사 6 8 1 2 2 5 5 1 3 4 4 6 5 4 2 4 2 3 예제 출력 2 복사 1 코드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000) def ..
백준 13023번 : ABCDE (python)
·
Algorithm/백준
문제 BOJ 알고리즘 캠프에는 총 N명이 참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0번부터 N-1번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고, 일부 사람들은 친구이다. 오늘은 다음과 같은 친구 관계를 가진 사람 A, B, C, D, E가 존재하는지 구해보려고 한다. A는 B와 친구다. B는 C와 친구다. C는 D와 친구다. D는 E와 친구다. 위와 같은 친구 관계가 존재하는지 안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 (5 ≤ N ≤ 2000)과 친구 관계의 수 M (1 ≤ M ≤ 2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정수 a와 b가 주어지며, a와 b가 친구라는 뜻이다. (0 ≤ a, b ≤ N-1, a ≠ b) 같은 친구 관계가 두 번 이상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문제의 조건에 맞는 A, ..
이중리스트 선언 방법(단순 연산, 반복문)
·
문제풀면서 알게되는것들 끄적
코드 예시 #단순연산 arr=[[]]*100 #반복문 arr[[] for i in range(n)] - 단순연산으로 이중리스트를 이용할시 첫번째 리스트를 단순 복사하여 다른 리스트들을 선언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리스트가 같은 객체를 바라보게 된다. 즉! 한가지 값을 변경해도 모든값이 똑같이 변경이된다. - 따라서 반복문을 이용하여 각 리스트들이 다른 객체를 바라보도록 선언을 해줘야 값을 변경하거나 이용할때 용이하다
프로그래머스 : 괄호 변환 (python)
·
Algorithm/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카카오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한 "콘"은 선배 개발자로부터 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라는 업무 과제를 받았습니다. 소스를 컴파일하여 로그를 보니 대부분 소스 코드 내 작성된 괄호가 개수는 맞지만 짝이 맞지 않은 형태로 작성되어 오류가 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정해야 할 소스 파일이 너무 많아서 고민하던 "콘"은 소스 코드에 작성된 모든 괄호를 뽑아서 올바른 순서대로 배치된 괄호 문자열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려고 합니다. 용어의 정의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있을 경우, '(' 의 개수와 ')' 의 개수가 같다면 이를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여기에 '('와 ')'의 괄호의 짝..
dfs, bfs
·
Data structur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graph,start_node): queue=deque() #조사할 노드 큐 visit=[] #방문을 한 노드 리스트 queue.append(start_node) #시작노드 while queue: node=queue.popleft() if node not in visit: visit.append(node) queue.extend(graph[node]) return visit def dfs(graph,start_nod): stack=deque() visit=[] stack.append(start_nod) while stack: node=stack.pop() if node not in visit: visit.append(node) stack..
프로그래머스 : H-Index (python)
·
Algorithm/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H-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느 과학자의 H-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 위키백과1에 따르면, H-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입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과학자의 H-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000편 이하입니다.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000회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citationsretur..
백준 1373번 : 2진수 8진수 (python)
·
Algorithm/백준
문제 2진수가 주어졌을 때, 8진수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2진수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수의 길이는 1,000,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수를 8진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1001100 예제 출력 1 복사 314 코드 if __name__ == "__main__": num=list(input()) chk=0 sum=0 eight=[] n=True for i in range(len(num)-1,-1,-1): if(num[i]=='1'): sum+=2**chk chk+=1 n=True else: chk+=1 n=True if(chk==3): eight.append(sum) sum=0 chk=0 n=False if(n==True): eight..
백준 17087번 : 숨바꼭질 6 (python)
·
Algorithm/백준
문제 수빈이는 동생 N명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S에 있고, 동생은 A1, A2, ..., AN에 있다. 수빈이는 걸어서 이동을 할 수 있다. 수빈이의 위치가 X일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D나 X-D로 이동할 수 있다. 수빈이의 위치가 동생이 있는 위치와 같으면, 동생을 찾았다고 한다. 모든 동생을 찾기위해 D의 값을 정하려고 한다. 가능한 D의 최댓값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5)과 S(1 ≤ S ≤ 109)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 동생의 위치 Ai(1 ≤ Ai ≤ 109)가 주어진다. 동생의 위치는 모두 다르며, 수빈이의 위치와 같지 않다. 출력 가능한 D값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3 3 1 7 11 예제 출력 1 복사 2 예제 입력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