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크기가 N인 수열 A = A1, A2, ..., AN이 있다. 수열의 각 원소 Ai에 대해서 오등큰수 NGF(i)를 구하려고 한다.
Ai가 수열 A에서 등장한 횟수를 F(Ai)라고 했을 때, Ai의 오등큰수는 오른쪽에 있으면서 수열 A에서 등장한 횟수가 F(Ai)보다 큰 수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수를 의미한다. 그러한 수가 없는 경우에 오등큰수는 -1이다.
예를 들어, A = [1, 1, 2, 3, 4, 2, 1]인 경우 F(1) = 3, F(2) = 2, F(3) = 1, F(4) = 1이다. A1의 오른쪽에 있으면서 등장한 횟수가 3보다 큰 수는 없기 때문에, NGF(1) = -1이다. A3의 경우에는 A7이 오른쪽에 있으면서 F(A3=2) < F(A7=1) 이기 때문에, NGF(3) = 1이다. NGF(4) = 2, NGF(5) = 2, NGF(6) = 1 이다.
입력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에 수열 A의 원소 A1, A2, ..., AN (1 ≤ Ai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총 N개의 수 NGF(1), NGF(2), ..., NGF(N)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7
1 1 2 3 4 2 1
예제 출력 1 복사
-1 -1 1 2 2 1 -1
코드
# 1. 입력받은 숫자들을 각 숫자마다 리스트안에 몇번씩 들어있는지
#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세어준다.
# 2. 입력받은 값들의 인덱스에 맞춰 각 원소가 들어있는 개수들로 이루어진 리스트 생성(num_add)
# 3. stack안에 인덱스를 넣어준다.
# - 이때 기존에 stack을 통해 num_add에 들어있던 값들과 비교하며 만약 기족에 들어있던것보다
# 값이 크다면 기존의 들어있던 값을 result리스트에 넣어주고 stack에서
# 해당 인덱스를 pop하여주고, 밑에 있는 인덱스를 통해 다시 비교하여준다..
# - 만약 값이 작다면 stack에 해당 값의 인덱스를 그대로 넣어준다.
# 4. 3번을 마지막 원소까지 반복하여준다.
n=int(input())
num=list(map(int,input().split()))
num_add=[]
stack=[]
result=[-1]*n
dic={}
for i in num:
# 각 원소가 들어있는 개수를 딕셔너리를 통해 만들어준다.
if(dic.get(i) !=None):
dic[i]+=1
else:
dic[i]=1
for i in num:
# 입력받은 값들의 인덱스에 맞춰 각 원소가 들어있는 개수들로 이루어진 리스트 생성
num_add.append(dic.get(i))
for i in range(len(num_add)):
while(len(stack)!=0 and num_add[stack[-1]]<num_add[i]):
# stack에 저장최어 있는 인덱스를 통해 num_add(몇번 들어있는지가 들어있는 리스트)
# 의 값을 비교 후 만약 전의 값보다 크면 result에 넣어주고 pop
# 전의값보다 작으면 그대로 index를 stack에 넣어줌
result[stack[-1]]=num[i]
stack.pop()
stack.append(i)
print(*result)
느낀점
인덱스를 스택(리스트)에 넣어 사용하는 방식도 있음
차례대로 하나씩 비교할때는 스택을 사용하는 방식을 고려해보기
중복되는 값이 많고 찾아비교할때는 딕셔너리를 사용하자
728x90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935번 : 후위표기식2 (python) (0) | 2021.11.21 |
---|---|
백준 17298번 : 오큰수(python) (0) | 2021.11.20 |
백준 10799번 : 쇠막대기 (0) | 2021.11.18 |
백준 17413번 : 단어 뒤집기2(python) (0) | 2021.11.17 |
백준 1874번 : 스택수열(python) (0)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