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후위 표기식과 각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들이 주어져 있을 때, 그 식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피연산자의 개수(1 ≤ N ≤ 26) 가 주어진다. 그리고 둘째 줄에는 후위 표기식이 주어진다. (여기서 피연산자는 A~Z의 영대문자이며, A부터 순서대로 N개의 영대문자만이 사용되며,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N+2번째 줄까지는 각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이 주어진다. 3번째 줄에는 A에 해당하는 값, 4번째 줄에는 B에 해당하는값 , 5번째 줄에는 C ...이 주어진다, 그리고 피연산자에 대응 하는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후위 표기식을 앞에서부터 계산했을 때, 식의 결과와 중간 결과가 -20억보다 크거나 같고, 20억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계산 결과를 소숫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ABC*+DE/-
1
2
3
4
5
예제 출력 1 복사
6.20
예제 입력 2 복사
1
AA+A+
1
예제 출력 2 복사
3.00
코드
# 후위표기식을 입력받고 반복문으로 후위표기식을 하나씩 올라가면 보다가
# 알파벳이나오면 stack에 push하고, 연산자가 나오면 stack에서 pop하는 방식
n=int(input())
cal=list(input()) # 후위표기식을 받는 리스트
num=[] # 피연산자를 받는 리스트
stack=[]
for i in range(n):
# 피연산자 입력
num.append(int(input()))
for i in cal:
# 후위표기식 리스트 반복
if(i>='A' and i<='Z'):
# 알파벳이라면 stack에 push
# 이때 알파벳이 아닌 해당 피연산자로 push
# A는 첫번째 피연산자, B는 두번째 피연산자와 같은 규칙이 있으므로
# 아스키 코드를 이용하여 피연산자를 stack에 push
stack.append(num[ord(i)-ord('A')])
else:
# 연산자가 나왔다면 stack의 마지막 두개값을 pop하여 계산해서
# 다시 stack에 push해준다.
num1=stack.pop()
num2=stack.pop()
if(i=='+'):
stack.append(num1+num2)
elif(i=='-'):
stack.append(num2-num1)
elif(i=='*'):
stack.append(num1*num2)
else:
stack.append(num2/num1)
# 소수점 두번째자리까지만 출력하고싶다면 %.2f를 사용
print('%.2f'%stack[0])
코드설명
후위표기식을 입력받고 반복문으로 후위표기식을 반복하다 알파벳이나오면 stack에 push하고, 연산자가 나오면 stack에서 pop하는 방식
느낀점
stack은 무언가를 차례대로 넣고, 넣은순서대로 빼거나 앞에서부터 뺄때 유용하다
728x90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808번 : 알파벳 개수(python) (0) | 2021.11.22 |
---|---|
백준 1918번 : 후위 표기식(python) (0) | 2021.11.22 |
백준 17298번 : 오큰수(python) (0) | 2021.11.20 |
백준 17299번 : 오등큰수 (python) (0) | 2021.11.19 |
백준 10799번 : 쇠막대기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