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준규가 사는 나라는 우리가 사용하는 연도와 다른 방식을 이용한다. 준규가 사는 나라에서는 수 3개를 이용해서 연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수는 지구, 태양, 그리고 달을 나타낸다.
지구를 나타내는 수를 E, 태양을 나타내는 수를 S, 달을 나타내는 수를 M이라고 했을 때, 이 세 수는 서로 다른 범위를 가진다. (1 ≤ E ≤ 15, 1 ≤ S ≤ 28, 1 ≤ M ≤ 19)
우리가 알고있는 1년은 준규가 살고있는 나라에서는 1 1 1로 나타낼 수 있다. 1년이 지날 때마다, 세 수는 모두 1씩 증가한다. 만약, 어떤 수가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1이 된다.
예를 들어, 15년은 15 15 15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1년이 지나서 16년이 되면 16 16 16이 아니라 1 16 16이 된다. 이유는 1 ≤ E ≤ 15 라서 범위를 넘어가기 때문이다.
E, S, M이 주어졌고, 1년이 준규가 사는 나라에서 1 1 1일때, 준규가 사는 나라에서 E S M이 우리가 알고 있는 연도로 몇 년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세 수 E, S, M이 주어진다. 문제에 나와있는 범위를 지키는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E S M으로 표시되는 가장 빠른 연도를 출력한다. 1 1 1은 항상 1이기 때문에, 정답이 음수가 나오는 경우는 없다.
예제 입력 1 복사
1 16 16
예제 출력 1 복사
16
예제 입력 2 복사
1 1 1
예제 출력 2 복사
1
예제 입력 3 복사
1 2 3
예제 출력 3 복사
5266
예제 입력 4 복사
15 28 19
예제 출력 4 복사
7980
코드
if __name__=="__main__":
cnte,cnts,cntm=1,1,1
year=1
e,s,m=map(int,input().split())
while(True):
if(cnte==e):
if(cnts==s):
if(cntm==m):
print(year)
break
if(cnte<15):
cnte+=1
else:
cnte=1
if(cnts<28):
cnts+=1
else:
cnts=1
if(cntm<19):
cntm+=1
else:
cntm=1
year+=1
코드설명
cnte,cnts,cntm이 e,s,m과 일치하면 출력하고 while문을 탈출해준다.
cnte,cnts,cntm이 각각 범위를 벗어나면 1로 바꾸어준다.
느낀점 및 배운점
.
728x90
'Algorithm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4500번 : 테트로미노(python) (0) | 2022.01.10 |
---|---|
백준 1107번 : 리모컨(python) (0) | 2021.12.27 |
백준 3085번 : 사탕 게임(python) (0) | 2021.12.24 |
백준 2309번 : 일곱 난쟁이(python) (0) | 2021.12.23 |
백준 2178번 : 미로 탐색(python) (0) | 2021.12.21 |